로이필름 (low-E Film)
- 나눔단열은 PENJEREX® 리더로 성장
- 나눔단열은 국내,외 우수 제조사와 파트너쉽 성장
- 나눔단열은 국내,외 우수 에너지컨설팅사와 파트너쉽 성장
건축용 윈도우 필름은 창 유리에 부착 하여 유리의 단점을 사용자가 개선 시킬 수 있습니다.
윈도우 필름은 다음과 같이 분류 할 수 있습니다.
구분 | 주 용도 | 기술적 기능 | 부착 위치 | 기대효과 | 사용처 |
단열필름 | 4계절 단열용 | 저방사(low-E)로 전도/복사 차단 | 내부용 4방위 가능 | 4계절 공간온도 평준화, 냉/난방 에너지절감 | 주택 / 빌딩 / 고온관련 기계 / 전기차 |
열차단필름 | 직사광선 열 차단 | 햇볕 복사열 차단 | 내/외부 구분하며 햇볕 받는 부위만 | 일사량 저감 및 창문 온도 감소, 냉방에너지 절감 | 오피스 / 서향건축물 |
유리창 시트지 | 햇빛 차단 및 컬러용 | 순간적 열 흡수하여 시간차로 공간에 재 방출 | 내부용 (※ 로이면 뒤 부착금지) | 인테리어용 | 내부 유리 |
안전필름 | 유리파손시 비산방지 | 접착 인장강도를 높여 유리파손시 형태유지 | 내/외부 구분 안전이 필요한 부위 | 유리파손시 비산방지, 2차 피해 감소 | 내/외부 유리 |
단열필름 (Low-E)의 기능
두께 1mm 미만인 윈도우필름은 얇은 두께로 인하여 단열성을 부여 하기 어렵습니다.
유리로 단열성을 부여하는 단 한가지 방법은 저 방사(Low Emissivity)기술을 활용 하여 단열성을 보완 할 수 있습니다.
저 방사는 투명성은 유지 하는 동시에 흡수/재방사에 의한 열손실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습니다. 방사는 반사로 이해 할 수 있습니다.
로이필름과 일반유리 비교
5mm 맑은 유리에 반을 로이필름을 부착하고 뜨거운 종이컵과 차가운 종이컵을 열화상 이미지로 비교 합니다.
로이필름과 일반유리 비교5mm 맑은 유리에 반을 로이필름을 부착하고 뜨거운 종이컵과 차가운 종이컵을 열화상 이미지로 비교 합니다.
로이필름과 열차단필름을 열반사 비교 테스트
5mm 맑은 유리에 로이필름과 3M의 nv35와 열반사 비교를 열화상카메라로 테스트 합니다.
로이필름과 열차단필름을 열반사 비교 테스트5mm 맑은 유리에 로이필름과 3M의 nv35와 열반사 비교를 열화상카메라로 테스트 합니다.
에어캡과 로이필름을 냉동고 테스트
영하 22도의 냉동고에 로이필름과 에어캡을 부착 하고 15분동안 표면온도를 비교 합니다. 에어캡은 영하 로이필름은 영상 10℃이상의 온도를 유지함
에어캡과 로이필름을 냉동고 테스트영하 22도의 냉동고에 로이필름과 에어캡을 부착 하고 15분동안 표면온도를 비교 합니다. 에어캡은 영하 로이필름은 영상 10℃이상의 온도를 유지함
50℃ 온장고 열차단필름 로이필름 테스트
50℃의 온장고에 로이필름과 열차단필름을 부착 하고 외부에서 따뜻한 온기가 얼마나 유출되는가 확인 하는 테스트
50℃ 온장고 열차단필름 로이필름 테스트50℃의 온장고에 로이필름과 열차단필름을 부착 하고 외부에서 따뜻한 온기가 얼마나 유출되는가 확인 하는 테스트
열차단필름 원리 겨울
겨울철 열차단필름의 원리를 설명 합니다.
열차단필름 원리 겨울겨울철 열차단필름의 원리를 설명 합니다.
로이필름 겨울철 원리
겨울철 로이필름부착은 단열성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로이필름 겨울철 원리겨울철 로이필름부착은 단열성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열차단필름 여름철 원리
열차단필름의 여름철 원리를 설명 합니다.
열차단필름 여름철 원리열차단필름의 여름철 원리를 설명 합니다.
여름철 로이필름 원리
여름철 로이필름 부착시 어떤 효과가 발생 하는지 설명 합니다.
여름철 로이필름 원리여름철 로이필름 부착시 어떤 효과가 발생 하는지 설명 합니다.
겨울철 유리창 온도 열화상
아파트에서 창호의 단열성 부족으로 창가 문의 온도가 가장 많이 영하에 가깝습니다. 유리의 단열성을 보강 하면 벽체 온도에 가까워 집니다. 로이필름은 가능 합니다.
겨울철 유리창 온도 열화상아파트에서 창호의 단열성 부족으로 창가 문의 온도가 가장 많이 영하에 가깝습니다. 유리의 단열성을 보강 하면 벽체 온도에 가까워 집니다. 로이필름은 가능 합니다.
겨울 아파트 로이필름 적용 후
겨울철 로이필름을 적용 후 벽체와 비슷한 단열된 모습을 열화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겨울 아파트 로이필름 적용 후겨울철 로이필름을 적용 후 벽체와 비슷한 단열된 모습을 열화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파의 호텔
한파로 인하여 30년 넘은 호텔은 단열의 취약성과 에너지를 도둑 맞고 있습니다. 영하 29도의 한파로 유리창과 벽의 온기 손실 열화상
한파의 호텔한파로 인하여 30년 넘은 호텔은 단열의 취약성과 에너지를 도둑 맞고 있습니다. 영하 29도의 한파로 유리창과 벽의 온기 손실 열화상
한파의 호텔 내부
한파 영하29도일때 실내의 유리창은 영하 2.9도 벽체는 19.9도 입니다. 열화상 이미지
한파의 호텔 내부한파 영하29도일때 실내의 유리창은 영하 2.9도 벽체는 19.9도 입니다. 열화상 이미지
한파 로이필름 부착 후
한파기간 로이필름 부착 후 실내 온도 열화상 이미지 (열반사로 사람의 온도와 난방에너지가 반사)
한파 로이필름 부착 후한파기간 로이필름 부착 후 실내 온도 열화상 이미지 (열반사로 사람의 온도와 난방에너지가 반사)
12월 주간 사무실
영상 5도 미만의 12월 사무실의 로이필름은 벽체의 온도와 비슷하지만 유리은 4℃ 이상의 저온을 보이고 있습니다.
12월 주간 사무실영상 5도 미만의 12월 사무실의 로이필름은 벽체의 온도와 비슷하지만 유리은 4℃ 이상의 저온을 보이고 있습니다.
북측창의 온도
24시간 가동하는 종합병원의 북측 창에 로이필름을 부착 합니다.
북측창의 온도24시간 가동하는 종합병원의 북측 창에 로이필름을 부착 합니다.
북측창의 로이필름부착 결과
햇볕이 들지 않는 북측창에 로이필름 부착 부 주간과 야간의 온도 변화를 그래프로 보여드립니다.
북측창의 로이필름부착 결과햇볕이 들지 않는 북측창에 로이필름 부착 부 주간과 야간의 온도 변화를 그래프로 보여드립니다.
11월의 공공건물
로이필름은 환절기 시 주간은 온도를 낮추어 주며, 야간은 실내 온도를 보관하여 단열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11월의 공공건물로이필름은 환절기 시 주간은 온도를 낮추어 주며, 야간은 실내 온도를 보관하여 단열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로이필름과 열차단필름 열화상
여름철 16mm 복층유리의 우측에는 흡수형 열차단필름은 50℃까지 온도를 올리고 있습니다.
로이필름과 열차단필름 열화상여름철 16mm 복층유리의 우측에는 흡수형 열차단필름은 50℃까지 온도를 올리고 있습니다.
여름철 전산실
전산실은 내부 전자기기의 발열로 더위가 더 심합니다.
여름철 전산실전산실은 내부 전자기기의 발열로 더위가 더 심합니다.
사무실 남향 여름
남향 사무실의 유리창 온도는 41℃에 달하지만 벽체의 온도는 32.7℃에 불과 합니다. 유리창 온도를 낮추는게 중요합니다.
사무실 남향 여름남향 사무실의 유리창 온도는 41℃에 달하지만 벽체의 온도는 32.7℃에 불과 합니다. 유리창 온도를 낮추는게 중요합니다.
여름철 주상복합
주상복합의 유리창은 2중창이 아니고 단창입니다. 표면온도는 44.8℃까지 됩니다. 로이필름 표면은 냉방에너지를 반사 하고 있습니다.
여름철 주상복합주상복합의 유리창은 2중창이 아니고 단창입니다. 표면온도는 44.8℃까지 됩니다. 로이필름 표면은 냉방에너지를 반사 하고 있습니다.
주상 복합 여름
단창으로 구성된 주상복합에 냉방효과 개선에 로이필름이 열화상으로 증명 하고 있습니다.
주상 복합 여름단창으로 구성된 주상복합에 냉방효과 개선에 로이필름이 열화상으로 증명 하고 있습니다.
남향 아파트
일반 아파트는 2중창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밝으면서 열차단과 단열성을 유지 하는 유일한 방법은 로이필름 부착 입니다.
남향 아파트일반 아파트는 2중창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밝으면서 열차단과 단열성을 유지 하는 유일한 방법은 로이필름 부착 입니다.
사무실 서향
프레임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 할 수 있는 로이필름이 냉방효과 개선에 가장 큰 영향력을 만듭니다.
사무실 서향프레임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 할 수 있는 로이필름이 냉방효과 개선에 가장 큰 영향력을 만듭니다.
사무실 서향
사무실 창문 프레임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 하는 로이필름은 냉방 에너지 개선에 가장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사무실 서향사무실 창문 프레임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 하는 로이필름은 냉방 에너지 개선에 가장 큰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